[Plant Simulation Tutorial #03] – 기본 객체 설명: Source, Drain, Station 이해하기

✍️ [Plant Simulation Tutorial #03] – 기본 객체 설명: Source, Drain, Station 이해하기

📑 요약
이 글에서는 Plant Simulation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객체인 Source, Drain, Station에 대해 설명합니다. 이 객체들은 공정 흐름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이며, 이후 복잡한 모델을 만들기 위한 기반이 됩니다.


🔍 1. Source – 생성자 역할

Source는 물체(Movable Unit, MU)를 생성하는 객체입니다. 현장의 Feeder 나 원재료를 공급한다고 보면 됩니다.

 

Source

이 Object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특정 조건에 따라 모델 안에 MUs를 생성하여 공정을 시작하게 만듭니다. Interval 형식으로 30초에 한번씩 재료나 반제품을 내보내거나 , Schedule 된 특정 시간에 재료를 투입하게 할 수 있습니다.
주요 속성설명
Interarrival time MU 생성 간격 (초, 분 등 단위 설정 가능)
Exit strategy 생성된 MU의 전송 방식 (FIFO 등)
MU type 생성될 MU 종류 (기본 MU 또는 사용자 정의)
 

💡 예시:
Interarrival time을 10초로 설정하면, 10초마다 새로운 물체가 생성되어 시스템에 투입됩니다.


🔧 2. Station – 작업 처리

Station은 MU가 도착했을 때 작업을 수행하는 설비나 작업장을 의미합니다. 직접적으로 말하면 밀링 , 선반과 같은 작업장비나 , 용접 , 컷팅 등 모든 작업장을 Station 으로 표현합니다.
가공, 대기, 검사 등 다양한 처리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.

 

Station

 

이 Object는 제품이 들어오면 특정 작업을 시작합니다. 이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작업시간 분포에 따라 작업시간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청소시간 , 쿨다운 시간과 같은 Set up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 작업장을 사용하기위해서는 MU 가 필요합니다.
주요 속성설명
Processing time 처리 시간 (고정값, 분포 함수, 함수식 등)
Capacity 동시 처리 가능 개수
Failures 고장 및 수리 시나리오 적용 가능
 

💡 예시:
Processing time을 Normal(5,1)로 설정하면 평균 5초 ± 1초의 변동으로 처리가 이뤄집니다.


🔚 3. Drain – 종료 지점

Drain은 최종적으로 MU가 시스템을 벗어나는 출구 역할을 합니다. 이른바 출고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모델 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MU를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Drain
주요 속성설명
Statistics 몇 개의 MU가 종료되었는지 등 통계 수집 가능
 

💡 Tip:
Drain에 도달한 MU 수를 활용하여 전체 시스템 처리량(Throughput)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.


🎓 기초 모델 구성 예제

  1. Frame을 열고
  2. Source → Station → Drain 객체를 연결
  3. F5 실행 → MU가 생성되어 Station을 지나 Drain으로 이동

📷 시뮬레이션 화면 캡처 첨부 (Source-Station-Drain 연결)

 

Result


📘 응용 팁

  • 각 객체는 “Method” 탭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가능 (SimTalk 사용)
  • 외부 변수 연동을 위한 Entry/Exit Control 활용 가능
  • 향후 Value Stream, Resource Pool 개념과도 연동 가능

📝 마무리
Source, Station, Drain은 Plant Simulation의 기초 3대장입니다.
이 3개만 자유롭게 다룰 수 있어도 대부분의 시뮬레이션 논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.